top of page

show 김영민 오일석_ 실패를 향하여 Towards failure 2015. 9. 24 – 10. 9


2015 년 늦봄, 자신을 도시 루저라고 오해하고 있는

오일석에게 미술 안에서 남들 뒤만 캐며 자위를 일삼던 김영민이

막연히 2인전을 제안했다. 전시의 공허함과 허무함에

너무 짜증이 나 있던 김영민은 ‘전시가 끝난 후 입가에

미소라도 지을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고민이 커져만 갔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오일석에게 전시를 제안했다.

김영민 개인에게도 제안을 받아들인 오일석에게도 9월 말로 잡은

이번 전시는 너무나 막연하고 시간이 부족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이 둘은 미술에 대한 비관적 시선과 삶에 있어

각자 자신을 실패자로 여기는 시선 공유하면서 여름 내내 전시를 준비해왔다.

여름이 끝나갈 무렵 마침내 오일석의 재기발랄한 아이디어로

전시의 제목을 ‘실패를 향하여’라고,

전시주제를 숨김없이 드러내는 문장으로 정했다.

about


김영민과 오일석의 전시 <실패를 향햐여>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예술가이자 생활인으로서 사는 자신들의 이야기이다. 이 두 젊은 작가의 이야기는 전업 작가를 희망하는 대다수의 젊은 미술인들이라면 누구나 동감할 수 있는 이야기다. 아니, 젊고 늙고를 떠나 예술활동으로 생계를 꾸릴 수 없는 모든 예술가의 이야기다. 이들은 지금도 창작과 생활의 경계에서 고민하고 불안해한다.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그늘에서 읊조리는 두 청년 예술인의 자조 어린 독백은 한 세기 전 도스토옙스키가 만들어 낸 ‘지하로부터의 수기’의 주인공의 그것과 닮아있으면서도 삶과 예술이 분리되지 않길 바라는 순수함에 대한 열망을 감추지 않는다.

김영민과 오일석은 자유를 보장해 주는 자본을 동경하면서도 이 자본이 자신들의 예술을 일상으로 침몰 시킬 것이라는 걸 본능적으로 느낀다. 그래서 이들은 자본을 무력화시키는 노동을 통해 자신들의 자유를 지켜내며 예술을 향해 나가려 한다. 비록 그것이 오늘날 대다수의 삶 위에 군림하는 자본 앞에서 실패를 의미하는 것일지라도, 이 두 젊은 예술가는 시스템이 보장하지 않는 자신들의 내재성에서 쟁취하게 될 행복을 위해 그리고 예술을 위해 실패를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것이다.


인스턴트루프

박기현





실패를 향하여

Towards failure



김영민 Kim Youngmin

오일석 Oh Ilseok


기획

인스턴트루프


전시일정

2015.09.24-10.9

13:00 -19:00

(월요일은 쉽니다 closed on monday)

추석 휴일 closed on 9.27 / 9.28


#실패를향하여


주소. 110-2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윤보선길 19-6

전화. 070 7536 5738


Post. 19-6 Yunposun st, Jonro district, Seoul

Tel. +82 70 7536 5738

Email. cabinet.a.seoul@gmail.com

www.instantroof.net


left

김영민 Kim Youngmin

9월의 크리스마스 Christmas in september 2015

right

오일석 Oh Ilseok

배위의 아바트로스 Albatross on the ship 2015

bottom of page